맨위로가기

무궁화호 객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궁화호 객차는 제작 시기, 차체 형태, 내부 설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되며, 1977년부터 2003년까지 여러 유형의 객차가 제작되었다. 직각형, 일반형, 장대형 객차를 비롯하여 특실, 장애인 객차, 침대 객차, 식당차 및 카페 객차 등 다양한 종류가 운행되었다. 객차는 차호에 따라 구분되며, 시설 개조 사업 및 타 열차로의 개조를 거쳐 관광열차 등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내구 연한이 도래한 객차는 폐차되거나 보존되기도 한다.

2. 종류

무궁화호 객차는 제작 시기, 차체 형태, 내부 설비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직각형 객차: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제작된 객차로, 차체 단면이 수직이다.
  • '''우등 객차''':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제작되었다. 일부는 자동 출입문 개조 및 시트 교체를 진행했으며,[1] 자동문 개조가 안 된 객차는 통일호로 격하되었다.
  •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초기형 새마을호 일부가 무궁화호 특실로 격하되었다. 1993년에 모두 무궁화호 특실로 격하되었다.
  • 일반형 객차: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제작되었으며, 차체 길이는 21430mm이고 단면은 곡선형이다.
  • '''대수선 객차''': 1985년, 1987년, 1989년에 생산되었고, 개선된 NT-21 대차를 적용했다. 일부에 220V 콘센트가 있다.
  • 장대형 객차: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제작되었고, 차체 길이는 23,500mm로 일반형보다 길다. 출입문은 4개다.
  • '''폭탄 객차''': 1991년과 1993년에 생산되었고, NT-21 대차를 사용했다. 좁은 좌석과 낮은 승차감 때문에 '폭탄 객차'라는 이름이 붙었다.
  • '''클래식 객차''':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생산되었고, NT-21 대차와 직접 조명을 사용했다. 벽면 디자인이 통일호와 유사하여 '클래식 객차'로 불린다.
  • '''나뭇결 초기형 객차''':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생산되었고, NT-21 대차와 직접 조명을 사용했다. 벽면 무늬 때문에 '나뭇결 객차'로 불린다.
  • '''나뭇결 후기형 객차''':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되었고, KT-23 대차를 사용해 승차감이 좋다. 무궁화호 최초로 간접 조명을 채용했다.
  • '''리미트 객차''': 2000년부터 2003년까지 디자인리미트로템에서 제작했다. KT-23 대차와 간접 조명을 사용한다.
  • '''초기형 객차''':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되었다.
  • '''후기형 객차''': 2003년에 생산되었고, 객실 내 LCD 모니터를 설치했다.
  • 특실 객차: 1992년부터 동차형 새마을호 후기형 도입으로 1993년 12월부터 초기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 일부가 무궁화호 특실로 운행되었다.[3] 1998년 12월 15일부터는 일반실로 격하되었다.[4]
  • '''구형 특실 객차''': 1991년과 1994년에 제작되었고, 현재는 보선차량 등으로 개조되었다.
  •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 1998년에 해태중공업에서 제작했고, 총 15량이 제작되었다.
  • '''새마을호 격하형 특실 객차''': 2007년 10월 1일부터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무궁화호에 기존 객차형 새마을호에서 격하된 특실 객차가 편성되어 운행 중이다.[5]
  • 장애인 객차: 1994년에 처음 도입되었고, 각 열차의 3호차(2량 이하 편성은 2호차)에 편성된다.[1]
  • 침대 객차
  • '''구형 침대 객차''': 2단 구조에 상단 입구는 사다리식, 하단 창문은 컸다.
  • '''신형 침대 객차''': 디자인리미트사에서 제작했고, 상단 입구가 계단형이다.
  • 식당차와 카페 객차: 무궁화호새마을호보다 등급이 낮아 모든 편성에 식당차가 있지는 않았다. 2008년 2월 1일부터 장항선을 시작으로 카페 객차가 도입되었다.

2. 1. 직각형 객차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제작된 무궁화호 객차로, 차체 단면이 수직면이다.

  • '''우등 객차:''' 1977년부터 1981년까지 제작되었다. 통일호와 객차 사양이 동일하여, 이후 운행 투입된 객차에 비해 서비스 품질이 좋지 않았다. 1998년을 기점으로 일부 객차는 자동 출입문 개조 및 시트 교체를 진행하였으며,[1] 출입문이 자동문으로 개조되지 않은 객차들은 통일호로 격하되었다.
  • '''새마을호 격하형 객차:''' 1987년부터 단계적으로 동차형 새마을호가 도입되면서, 초기형 새마을호 차량의 일부가 무궁화호 특실로 격하되기 시작하였다. 1993년에 모든 차량이 무궁화호 특실로 격하되었다. 1세대 새마을호 객차[2]는 공기스프링 대차 및 표준 새마을호 시트로 교체하여 무궁화호 특실로 운영했으며, 그 외는 내부 시설 개조 및 외벽 개조 등을 거쳐 서비스 객차로 격하되어 운영되었다.

2. 2. 일반형 객차

일반형 객차1985년부터 1989년까지 제작된 무궁화호 객차다. 차체 길이는 21430mm이다. 차체 단면은 곡선형으로, 직각형 객차보다는 둥글지만 장대형 객차보다는 덜 둥글다.

  • 대수선 객차: 1985년, 1987년, 1989년에 생산된 객차로, 직각형 객차에 적용되었던 대차보다 승차감이 개선된 NT-21 대차를 적용하였다. 1985년, 1987년 생산분은 도입 당시 1열 5인승의 2x3 배열로 총 88석이었으나, 이후 도입된 객차가 2x2 좌석을 채용하자, 기존의 2x3 배열 좌석을 제거하고 폭이 좁은 2x2 배열의 좌석을 설치하였다. 1989년 생산분은 본래 일반실이 아니라 특실로 반입되었기 때문에 창문이 8개이고 1량당 총 좌석수가 78석이었으나, 좌석 재설치 작업을 거치면서 일반실로 격하되었다. 일부 차량에 한하여 220V 콘센트를 설비하였다. 대수선 객차란 이름은 좌석 개조를 ‘대수선(大修繕)’이라고 부른 데에서 유래하였다.

2. 3. 장대형 객차

1991년부터 1999년까지 제작된 무궁화호 객차로, 차체 길이가 23,500mm로 일반형 객차보다 길다. 출입문은 4개다.

  • 폭탄 객차: 1991년1993년에 생산된 객차로, NT-21 대차를 사용하였다. 1991년 생산분은 천장이 둥글고 돌출형 직접 조명을 채용한 반면, 1993년 제작 차량은 천장이 직각 모양이고 비돌출형 직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좌석은 2x2 배열이었으나, 좌석 폭이 좁고 통로 폭이 넓었다. 일부 차량(11552호)은 좌석을 교체하였다. 220V 콘센트는 설치되지 않았다. '폭탄 객차'라는 이름은 좁은 좌석과 낮은 승차감에서 유래하였다.
  • 클래식 객차: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생산된 객차로, NT-21 대차를 사용하였으며, 차내에는 직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차체 외부(스커트)를 둥글게 하였으며, 좌석 간격을 넓혀 현재 일반적인 무궁화호 객차 좌석 간격과 같아졌다. 220V 콘센트는 설치되지 않았다. 벽면에는 무늬 없이 베이지색 색채를 적용하였다. '클래식 객차'라는 이름은 벽면 디자인이 통일호와 같아 고전적이라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12010, 12027, 12061, 12070, 12076, 12088호는 1995년 8월 25일 사고로 조기 결차되었다. 12078~12081호는 12010, 12027, 12061, 12070호 차번이 바뀌어서 결번되었다. 2006년에는 12173호가 결차되었다.
  • 나뭇결 초기형 객차: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생산된 객차로, NT-21 대차를 사용하였으며, 차내에는 직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220V 콘센트는 설치되지 않았다. 차내 벽면에 나뭇결 무늬 스티커를 부착하였으나, 2010년대 차량 개조 작업 시 이 무늬는 사라졌다. 일부 차량은 2013년 이후 통로막 개조를 진행하였다. '나뭇결 객차'라는 이름은 벽면 무늬 디자인에서 유래하였다. 2006년에 12349호가 결차되었다.
  • 나뭇결 후기형 객차: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된 객차로, 성능과 승차감이 비교적 좋은 KT-23 대차를 사용하였다. 무궁화호 객차 최초로 간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차내 일부 좌석에 220V 콘센트가 설치되었다. 2010년대 차량 개조 작업 시 차내 벽면 나뭇결 무늬 스티커는 사라졌다. 12421~12436호에 미니카페가 추가되었다.

  • 리미트 객차: 2000년부터 2003년까지 디자인리미트로템에서 제작한 무궁화호 객차다. 제작사 이름이 객차를 부르는 통칭이 되었다. 출입문 수는 2개이고, KT-23 대차를 사용하였으며, 간접 조명을 채용하였다. 차내 일부 좌석에 220V 콘센트가 설치되었다.
  • 초기형 객차: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된 객차다. 초기엔 공조장치가 차량 하부에 설치되어 제동 시 디스크 분진이 공조기로 스며들어 석탄 냄새가 났는데, 에어컨 유닛 흡입구 방향을 개조하고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후 생산된 객차는 방송실(승무원실)만 설치된 객차가 따로 나오지 않고, 장애인 편의시설을 장착한 차량에 방송실을 설치한 구조로만 방송차량이 생산되었다. 2011년부터 장애인 객차 일부 칸을 제외하고 통로막을 개조하였다.
  • 후기형 객차: 2003년에 생산된 객차로, 객실 내 LCD 모니터를 설치하였다. 리미트 초기형 객차의 공조장치 문제를 해결하였다. 철제 선반과 분홍색 바닥은 초기형과 비교하여 달라진 점이다. 2011년부터 장애인 객차 일부 칸을 제외하고 통로막을 개조하였다.

2. 4. 특실 객차

1992년부터 동차형 새마을호 후기형이 대량으로 도입되면서, 상대적으로 서비스 수준이 떨어지는 초기 유선형 새마을호 객차 중 특실과 식당차 일부를 제외한 전 차량이 1993년 12월부터 무궁화호 특실 전용열차로 운행되기 시작하였다.[3] 그러나 이용률 저조와 소비자 선택권 침해 문제로, 1998년 12월 15일부터 내부 시설 변경 없이 무궁화호 일반실로 그대로 격하 운용되었다.[4] 2008년 금강산 피격 사건 이후 구 특실 전용 무궁화호 객차가 운행된 구간은 동대구 ~ 강릉 왕복 2회, 대전 ~ 광주 왕복 2회 구간이다.

구형 특실 객차1991년1994년에 제작되었으며, 1991년 제작 차량은 대우중공업에서, 1994년 제작 차량은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되었다. 현재는 모두 녹색의 보선차량 등으로 개조되었다.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1998년해태중공업에서 제작한 객차이며, 총 15량이 제작되었다. 9량이 교육테마열차로 차출되고 6량이 남아 2007년 10월 1일부터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등지에서 운행되었으며, 종아리 받침대를 설치하는 작업을 하였다. 일부 차량은 2016년 이후부터 통로막 개조를 진행하였다.

새마을호 격하형 특실 객차2007년 10월 1일부터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을 운행한 무궁화호에 특실 객차가 편성되면서, 기존 객차새마을호에서 격하된 특실 객차가 편성되어 운행되고 있다. 격하된 차량은 1991년 제작 2량과 1999년 제작 9량의 총 11량이다. 일부 차량은 2016년 이후부터 통로막 개조를 진행하였다.[5]

2. 5. 장애인 객차

1994년에 처음 도입된 장애인 객차는 점차 도입량이 증가하면서, 3량 이상 편성된 정기열차에는 대부분 혼합 편성되어 운영 중이다.[1] 장애인 객차는 각 열차의 3호차에 편성되며, 2량 이하로 편성된 정기 열차의 경우 2호차에 편성된다.[1] 초기에는 1호차에 연결되었고, 특실이 편성된 열차는 2호차에 연결되었으나, KTX 개통을 앞두고 3호차에 편성하는 것으로 통일되었다.[1] 대부분의 장애인 객차에는 방송실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만, 10101호와 10102호에는 방송실 장치가 없어 이들 차량을 연결할 때는 방송실 장치가 탑재된 다른 일반실 객차를 추가로 연결해야 한다.[1] 동차형 무궁화호의 경우에는 1호차가 장애인 객차이다.[1]

2. 6. 침대 객차

구형 침대 객차는 2단 구조로, 침대 상단 입구는 사다리식이었고 하단 창문이 컸다. 통일호 침대차와 달리 플라스틱 칸막이와 커튼으로 각 칸을 가렸다. 상단과 하단 2단 구조로 좌우 7명씩 총 28석 구조였고, 화장실과 세면대 시설이 있었다. 전용 승무원 시설도 있어 침대 객차 승객을 관리하고 목적지에 도착한 승객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

신형 침대 객차는 현재 비정기적으로 운행되며, 디자인리미트사에서 제작했다. 침대 상단 입구를 계단형으로 만들어 상단 접근성이 좋아졌다. 상단과 하단의 창문 크기가 같으며 주름식 플라스틱으로 입구를 가릴 수 있고 간단한 잠금장치도 있다. 정규 열차에는 편성되지 않고 금강산 관광 열차 등에 한해서 운행되다가,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이후 한동안 방학 기간 일부 역에서 정차 상태로 내일로 이용자 숙소로 사용되었다. 2012년 여수엑스포 기간 중 심야 열차로 전라선에서 임시 운행한 뒤, 2013년 ‘부산, 울산, 경남 방문의 해’를 맞아 부울경 테마 관광열차로 운행을 거쳐, 관광 열차 등에 한정 운행되었다.

2. 7. 식당차와 카페 객차

무궁화호새마을호보다 등급이 낮은 열차로, 모든 편성에 식당차가 연결되지는 않았다. 경부선 일부 열차와 호남선, 전라선의 식사 시간대 일부 열차, 중앙선태백선을 경유하던 청량리역-동해역우등형 전기 동차(EEC)에 연결되었다. 또한 유선형 새마을호무궁화호 특실 격하로 인해 연결되기도 했다.

이후 식당차의 인력 관리 효율성 문제로 기존 식당차를 폐지하고, 2008년 2월 1일부터 장항선을 시작으로 카페 객차가 투입되었다. 이후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경북선 등으로 확대되어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 2월 20일부터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등에도 카페 객차가 운행되기 시작하였으며, 12월부터 충북선, 호남선, 경전선, 영동선, 동해남부선 등을 운행하는 단거리 무궁화호에 미니카페가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무궁화호의 식당차는 기존의 일반 객차를 개조한 차량이 투입되며, 2001년경 디자인리미트에서 새로 제작한 식당차는 레일크루즈 해랑으로 개조되었다.

3. 차호별 구분

객차의 차호에 따라 종류, 제작 연도, 제작사, 구분, 수량, 비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 일반 좌석만 있는 객차이다. 2018년 5월 현재 운행된 차량의 좌석 수는 72석이다.
  • : 방송실(승무원실) 설비가 있는 객차이다.
  • : 일반 좌석 64석과 장애인 좌석 2석으로 구성된 객차이다. 승강구가 넓고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 번호종류제작연도제작사구분수량비고
11701~11728우등1977대우보/방28폐차
11729~11730우등1977조선2폐차
11882~11902우등1979대우21폐차
11876~11881우등1979대우6폐차
11731~11846우등1980당엥116폐차
11847~11875우등1981당엥29폐차
11904~11914
11923~11959
우등1981대우48폐차
11915~11922우등1981대우8폐차
11903우등1981현대1폐차
11960~11999대수선1985대우보/방36/4폐차
11501~11506대수선1987대우보/방5/1폐차
11507~11525대수선1989대우보/방15/4폐차
11530~11552폭탄1991대우23폐차
11526~11529폭탄1991대우4폐차
11553~11560폭탄1993한진8폐차
11561~11563폭탄1993한진3폐차
12001~12008클래식1994한진8폐차
12009~12017, 10395~10399클래식1994한진22폐차
12018~12075, 10400~10403클래식1994현대62폐차
10101~10102클래식1994현대2폐차
12076~12100
12120~12157
클래식1995한진63폐차
12101~12119, 10404~10424클래식1995한진36폐차
12158~12160
12167~12189
클래식1996한진26폐차
12161~12166클래식1996한진6폐차
12198~12267나뭇결 초기1996대우70폐차
12190~12193나뭇결 초기1996대우4폐차
12268~12318나뭇결 초기1997대우51
12194~12197나뭇결 초기1997대우4
10103~10112나뭇결 초기1997대우10
12360~12427나뭇결 후기1997대우68
12428~12527나뭇결 후기1997~1998대우100
12319~12326나뭇결 후기1997대우8
12327~12359나뭇결 후기1998대우33
10113~10132나뭇결 후기1998대우20
12528~12537나뭇결 후기1999한진10
12538~12582리미트 초기2000리미트45
12583~12623리미트 초기2001리미트41
10133~10148리미트 초기2001리미트16
12624~12651리미트 초기2002리미트28
10149~10155리미트 초기2002리미트7
12652~12698, 10431~10434리미트 초기2002로템51
12799~12300리미트 초기2002리미트2
12699~12780, 10425~10430리미트 후기2003리미트88
10156~10180, 10188~10192리미트 후기2003리미트30
12779~12781, 12787~12792리미트 후기2003리미트9
12797~12798리미트 후기2003리미트2


4. 개조

노후화된 무궁화호 객차는 시설 개선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개조되고 있다. 이러한 개조는 크게 객실 시설 개선과 다른 열차로의 개조로 나눌 수 있다.

4. 1. 시설 개조 사업

무궁화호 객차는 조명 장치 개선, 220V 전기 콘센트 설치, 화장실 시설 고급화, 내장재 불연재화 등 객실 서비스 향상을 위한 개조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2009년부터 일부 객차로윈에서 개조되었으며, 2013년 10월 이후부터는 주식회사 케이에스엠이 개조 사업을 맡고 있다. 로윈을 통해 개조된 차량 중 일부는 여전히 220V 전기 콘센트가 설치되지 않았다.

2009년부터 로윈에서 개조한 42량의 차량 번호는 다음과 같다.

  • 12252, 12179, 12165, 12167, 12169, 12246, 12183, 12171, 12228, 12247, 12239, 12259, 12262, 12245, 12202, 12250, 12229, 12244, 12266, 12215, 12178, 12221, 12222, 12118, 12243, 12204, 12203, 12185, 12170, 12205, 12184, 12264, 12257, 12208, 12182, 12189, 12174, 12159, 12241, 12235, 12168, 12158, 12991, 10425, 10104, 10105, 10106, 10114, 10120, 10124

4. 2. 타 열차로의 개조

무궁화호 객차는 관광열차로 개조되거나, 기존의 새마을호 객차를 대체하는 차량으로 개조되기도 하였다.
해랑, 동해역에서 촬영

5. 폐차

옛 철도안전법에 따르면 객차내구 연한은 25년이다. 내구 연한이 지난 무궁화호 객차는 폐차되거나, 비상 보선 사무용 차량(침식차)으로 등급이 낮아졌다. 한때 폐차된 구형 무궁화호 객차를 개발 도상국에 보낼 계획도 있었으나, 차량 노후가 심각하여 실행되지 않았다.[1]

상태가 좋은 객차는 불용품으로 일반인에게 매각 처리된다. 량 당 평균 가격은 1000만에서 2000만이며, 지금도 이를 활용한 시설이 전국에 있다.[1]

5. 1. 보존

일부 폐차된 무궁화호 객차는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되고 있다. 보존 위치와 해당 객차 번호는 다음과 같다.

보존 위치객차 번호
능내역11502호
독립기념관11885, 11888호
동양대학교11914, 11924, 11932, 11934호
김유정역11966, 11968호
경춘선숲길10286, 10287, 10288, 10289, 10290, 10291, 10292, 10293호


6. 사진

무궁화호 객차용 KT-23 대차


리뉴얼된 구형좌석의 무궁화호 객차


리뉴얼된 직접조명방식의 무궁화호 객차


2003년형 신조 무궁화호 객차


미니 카페가 추가된 무궁화호 객차 (12421~12436호)


침대 객차

참조

[1] 문서 객차는 NT-21 대차로 교체되어 운행한 적이 있다
[2] 문서 일명 원조 새마을호 또는 직각 새마을호라고도 한다
[3] 문서 1996년에 무궁화호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4] 뉴스 2010년대 이후 등장한 관광열차가 운임 체계상 새마을호 특실전용열차로 다시 부활하여 운행되기도 한다 http://newslibrary.n[...] 1998-11-26
[5] 문서 2007년 10월 1일부터 1111/1117/1112/1118열차에 운행된 새마을호의 객실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의 1호차에 특실 객차를 편성하여 운행하고 있다. 한편 1091/1093/1092/1094열차는 2010년 12월 15일 운행 재개와 동시에 1071/1073/1072/1074열차로 열차번호를 변경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